LVM ( Logical Volume Manage)


-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합쳐서 한 개의 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것


용어


- Physical Volume

- Volume Group

- Logical Volume



실습 흐름도




1. fdisk 한다.



- LVM 은 type 이 8e 이다. ( L눌러서 type 확인 가능)


2. Physical volume create 후 Volume group create를 한다. 

- 먼저 패키지 설치를 해야함 apt-get -y install lvm2

- pvcreate 먼저 하고 vgcreate를 한다.



3. Logical Volume create을 한다.



- 5G 짜리 myVG를 각각 1,3,1G 로 나눈다.

- lvcreate --extents 100%FREE --name myLG3 myVG 를 써서 마지막에 남은 모든용량을 처리한다.


4. 포맷한다.


- mkfs.ext4 /dev/myVG/myLG1

- mkfs.ext4 /dev/myVG/myLG2

- mkfs.ext4 /dev/myVG/myLG3


5. 폴더 생성 후 각각 마운트 한다.




7. /etc/fstab에 등록한다.
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텔넷 서버 구축  (0) 2018.07.06
[Linux] 사용자별 공간 할당 쿼터  (0) 2018.07.03
[Linux] RAID  (0) 2018.06.28
[Linux] SATA와 SCSI, 하드디스크 추가해보기  (0) 2018.06.28
[Linux] 모듈과 커널 컴파일  (0) 2018.06.27



RAID

- RAID(Redundant Array of  Indepensive Disks) 여러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함

- 비용절감 + 신뢰성 항샹 + 성능 향상


RAID 방식의 비교


RAID 방식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


실습 ) RAID 0, 1, 5 구축해보기


1. 9개의 하드디스크를 추가한다. (sdb ~sdj 까지)



2. fdisk를 이용해 파티션한다.



- 포맷시 파티션 type 옵션에 t를 주고 type에 raid 설정을 위해 fd로 타입을 변경한다. (b~j까지 동일하게 진행)



fdisk 완료 (b~j까지)


실습) Linear RAID 구축



- apt-get install mdadm 

- mdadm --create /dev/md9 --level=linear --raid-device=2 /dev/sdb1 /dev/sdc1

(md9이라는 mdadm을 만들고 레벨은 linaer다. 장치는 2개고 그 2개는 sdb1과 sdc1 이다.)

- 그 후로 포맷 과정은 동일, 마지막에 /etc/fstab 수정함으로써 부팅후에도 유지시킴.

- 확인 명령어 : mdadm --detail /dev/md9

- 똑같이 raid 0,1,5 실습

- 완료 후 update-initrams -u 명령어 실행 (적용)


결과 )

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사용자별 공간 할당 쿼터  (0) 2018.07.03
[Linux] LVM  (0) 2018.07.03
[Linux] SATA와 SCSI, 하드디스크 추가해보기  (0) 2018.06.28
[Linux] 모듈과 커널 컴파일  (0) 2018.06.27
[Linux] GRUB 부트로더  (0) 2018.06.27

실습 ) 하드디스크 1개 추가해보기.



=> 폴더를 만들어서 sdb1 장치를  mount해서 사용해야 함. ( 그 폴더를 들어가면 장치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)



1.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Edit virtual machine을 통해 장착함.


2. fdisk를 사용하여 파티션 분할을 시작한다.



-  ls /dev/sd* : 내가 삽입한 장치를 검색한다

- fdisk /dev/sdb : 파티션 분할 시작

- Command n : new 파티션 생성

- Select P : primary 기본 파티션으로 간다.

- Partion number 1 : 첫번째 파티션으로 지정 하고 first sector와 last sector는 default 값으로 지정하였다.

- 마지막으로 Command w(write)를 입력하면 현재까지 파티션한게 적용 된다.


3. 포맷한다. (파일 시스템 생성)


- mkfs.ext4 /dev/sdb1




4. mount 와 umount를 실습해본다.



- mkdir /mydata : mydata 디렉토리를 만든다.

- touch test1 : test1 파일을 생성.

- mount /dev/sdb1 /mydata : mydata 폴더에 삽입한 장치를 마운트 시킨다.

- 그다음 test1 파일이 안보이는걸 확인

- touch test2 : mount시킨 상태에서 test2 파일을 생성해본다.

- umount /mydata : umount 시킨후 파일 목록을 확인 하면 test2가 아닌 test1파일이 들어있음을 알 수있다.

(test1 파일은 swap공간 영역에 test2는 마운트된 mydata안에 존재)


5.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재부팅시 마운트가 풀리므로 마운트가 풀리지 않도록 /etc/fstab을 편집한다.


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LVM  (0) 2018.07.03
[Linux] RAID  (0) 2018.06.28
[Linux] 모듈과 커널 컴파일  (0) 2018.06.27
[Linux] GRUB 부트로더  (0) 2018.06.27
[Linux] 파이프,필터,리디렉션, 응급복구  (0) 2018.06.27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