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RRP(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)
VRRP 여러 대 (최소 2대 이상)의 Router를 하나의 group으로 묶어서, Client가 바라보는 Gateway에 대한 IP Address를 공유하며, Priority가 높은 Router가 동작하다가, Router에 문제가 발상하면, 그 다음 Priority를 가진 Router가 Active role를 가지고 Gateway IP Address를 넘겨 받아 동작하여, Client 입자에서는 Router의 장애와 관계 없이 Gateway의 IP Address를 변경하지 않고 Data를 전달합니다.
실제로 꾸며봤던 VRRP 망 입니다.
위아래 이중으로 VRRP를 걸고 137번 eth1에
대해서 장애가 발생 했을 때의 llcf 동작과 함께 VRRP의 master-backup 동작을 테스트 해봤었습니다. 실제로 137번 eth1번이 장애로 인해 끊어졌을 시 eth2가 llcf로 인해서 같이 끊어짐과 동시에 138번이 master 역할을 가져가는 동작을 확인하였고 master를 가져감과 동시에 VIP를 가져오는 걸 확인 하였습니다.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방화벽 이중화 (0) | 2019.02.15 |
---|---|
[Network] NAT (0) | 2018.11.21 |
[Network] 커널패닉 (0) | 2018.11.21 |
[Network] LLCF (0) | 2018.11.21 |
[Network] Traceroute VS Tracert (0) | 2018.11.21 |